토지 양도소득세 계산방법 정리

세금 문제는 언제나 어렵고 골치 아프게 느껴집니다. 아마도 이런 것은 저만의 이야기가 아닐텐데요, 세금에 대해 충분히 알지 못하기 때문에 더 그런 것 같습니다. 우리 삶과 밀접한 세금 중 하나가 바로 양도소득세인데 이에 대해서도 아는 바가 많지 않습니다.

 

 

그래서 오늘 포스팅에서는 토지 양도소득세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세금에 대해 잘 아는 길이 바로 절세가 된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양도소득세란?

 

 

 

집이나 토지를 팔 면 세금을 내야 합니다. 재산에 대한 권리를 양도하면서 차익이 발생한다면 그 부분에 세금을 부과하는 방식이죠. 만약 살 때보다 집이나 토지의 가격이 떨어졌다면? 당연히 세금을 낼 필요가 없습니다. 하지만 대다수의 부동산은 가격이 지속적으로 오르는 것이 현실입니다.

 

 

양도소득세는 전체적으로 복잡한 양상을 보입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토지 양도소득세 계산방법을 위주로 배워보겠습니다. 양도세는 기본적으로 과세표준에 양도세율을 곱한 뒤 세법상 감면 조항에 해당하는 경우 법에 따라 세액을 감면해 계산합니다.

 

계산방법

 

 

 

토지 양도소득세 계산방법에서 필요한 개념들을 살펴보면 양도금액, 취득 금액, 필요 경비, 양도차익, 장기보유 특별공제, 기본 공제, 과세표준, 양도 세율 적용, 감면 적용, 최종 양도세가 있습니다. 필요경비란 취득세 뿐 아니라 중개비, 리모델링비, 철거비 등 증빙이 가능한 경비들을 의미합니다.

 

 

 

장기보유 특별공제란 3년 이상 장기 보유한 토지 또는 건물 양도시 일정 비율 세금을 공제해주는 것이고 기본 공제란 1인 1년당 250만원이 공제됩니다. 과세표준이란 실제 세금을 계산할 때 기준이 되는 금액이며 감면 적용은 자경제촌 등 감면 사유 발생시 적용되는 감면을 의미합니다.

 

 

토지 양도소득세 계산방법을 간단하게 알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바로 홈텍스 홈페이지입니다. 조회/납부 메뉴에 들어가면 세금신고납부 메뉴 안에 양도소득세 종합안내가 있습니다. 여기에 들어가면 미리 계산해보는 양도소득세가 있어 반갑습니다.

 

양도소득세 자동계산 서비스는 단지 세액계산만 제공하는 서비스이며 양도소득세 전자신고가 이뤄지는 것은 아님을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양도소득세 예정신고는 주소지 관할 세무서에 신고서를 제출하거나 전자신고할 수 있고 예정신고 기간내 납부해야 합니다.

 

 

 

 

양도가액, 취득가액을 모두 알고 있으면 계산이 수월한데, 단순 계산은 로그인 없이 가능합니다. 부동산 등기 자료를 활용해 계산해보려면 공인인증서를 포함한 로그인을 해야 합니다. 단순 계산을 살펴보면 기본사항, 거래금액, 기타사항을 입력해 계산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취득가액은 매입가액 뿐 아니라 취등록세, 법무사비용, 취득중개수수료, 기타 비용을 입력하도록 되어 있고 양도소득기본공제는 250만원 됩니다. 기타사항에서는 미등기 양도인지, 상속재산인지 비사업용토지인지, 주택의 경우 1세대 2주택 2년 이상 보유 여부 등을 묻습니다.

 

 

임의로 3년 전 1억 주고 산 토지를 2억에 팔았다고 계산해보았습니다. 계산을 간단히 하기 위해 매입시 세금 및 경비는 입력하지 않았습니다. 양도 차익 1억에 장기보유 특별공제, 양도 소득기본공제가 들어가서 과세 표준은 91,500,000원입니다. 세율 35% 적용에 다시 누진공제가 빠져 약 17백만원을 내야 합니다.

 

소득세율

 

 

 

토지 양도소득세 계산방법을 살펴보니 양도소득세 이해가 빨라지지 않나요? 그래서 저는 모의 계산을 애용합니다. 소득세율은 알아둬야 토지 양도소득세 계산방법에 대한 이해도 높아질 것입니다. 소득세율은 보유기간, 과세표준, 사업여부에 따라 달라집니다.

 

 

1년 미만의 경우 사업용 여부에 상관없이 50%나 붙기 때문에 거래를 피해야겠습니다. 양도소득세율이 급격히 떨어지는 것은 2년을 넘어선 시점입니다. 과세 표준 1,200만원을 초과하면 누진공제가 붙습니다. 3억을 초과할 경우 2년 미만 보유 거래분과의 양도세율이 큰 차이가 없습니다. 이런 부분에서 절세할 수 있는 여지가 보입니다.

 

 

 

어렵게만 느껴지던 양도소득세도 토지 양도소득세 계산방법을 이용해 계산해보니 좀 더 명확해진 느낌입니다. 소득세율을 알면 모의계산을 통하지 않더라도 어렵지 않게 계산을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기회가 되면 다른 포스팅으로 양도소득세 절세비법에 대해 공유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만물박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급명령 신청 안내  (0) 2020.04.15
내가 가입한 보험 조회 이렇게  (0) 2020.04.14
개인정보보호법 위반 처벌 뜨악  (0) 2020.04.10
연차휴가일수 계산 쉽다  (0) 2020.04.09
건강보험 산정기준표 공개  (0) 2020.04.08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